반응형

유튜브(youtube) mp3 음원추출 사이트는 여기


                                                            - 닌맘의 나를 그리다. - 


유튜브(youtube) mp3 음원추출 사이트

유튜브를 보다보면 소장하고 싶은 동영상과 음원이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멜론을 통하여 음악을 다운받고 있으나 유튜브에서 음원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도 있으니 아래 글들을 보시고 참고하시 바랍니다





우선 유튜브 사이트에서 마음에 드는 동영상을 발견했다면 주소를 복사하니다. 

다음 아래 링크 주소의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FLVTO 사이트에서 '미디어 링크를 입력하세요' 라는 부분에 아까 복사한 유튜브 주소를 붙여넣기 후 변환하기를 클릭합니다. 



변환중의 모습입니다. 

조금만 기다리면 됩니다. 





변환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다운로드 가능한 화면으로 바뀝니다. 

이제 다운로드를 눌러 다운을 받으면 됩니다. 

다운로드를 처음 누르면 광고가 뜨게 되는데 무시하고 다운로드를 한번 더 누르면 저장할 수 있습니다. 





PC에서 하던 방법으로 모바일에서도 https://www.flvto.biz/ 사이트에 접속하여 유튜브 mp3 음원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생활정보19

금융, 복지, 교육 등 핫한 정보를 알려드려요

,
반응형

바탕화면에 유튜브(youtube) 바로가기 만드는 방법


                                                          - 닌맘의 나를 그리다. - 




* 컴퓨터 바탕화면에 유튜브 바로가기 만드는 방법입니다. 

인터넷 사이트 - 즐겨찾기에 유튜브 사이트를 추가해서 유튜브 사이트로 접속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저 같은 경우에는 컴퓨터 바탕화면에 유튜브 바로가기를 만들어서 사용중입니다. 

우선 컴퓨터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니다. 

다음으로 새로만들기 - 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항목 위치 입력에서 유튜브 주소(https://www.youtube.com)를 입력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바로가기 이름 지정

바로가기에 사용할 이름을 입력 후 마침을 클릭 합니다. 

저는 유튜브라고 입력해보겠습니다.


이제 바탕화면에 유튜브 바로가기가 만들어졌습니다. 

더블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유튜브 사이트로 바로 연결이 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생활정보19

금융, 복지, 교육 등 핫한 정보를 알려드려요

,
반응형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 가능할까?

                                                                 - 닌맘의 나를 그리다. - 




인감증명서

신고된 인감을 증명받고자 작성하는 문서로 인감증명은 행정청에 신고된 인감과 같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인감증명서도 인터넷에서 발급이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정부24 홈페이지에서 인감증명서를 검색합니다. 




아쉽게도 인감증명서는 인터넷 발급이 안됩니다.

신청방법은 '방문'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발급 수수료는 600원입니다.

민원인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생활정보19

금융, 복지, 교육 등 핫한 정보를 알려드려요

,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와 트위터 연결하기

                                                            - 닌맘의 나를 그리다. - 



티스토리 블로그 방문자수 늘리는 방법

블로그에 열심히 글을 쓰면 검색 포털 사이트를 통해 유입이 됩니다. 

하지만 좀 더 많은 방문자를 원한다면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트위터, 페이스북 등에 홍보를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트위터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연동시키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트위터에 글이 올라갑니다. 



우선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화면으로 갑니다. 

좌측 사이드바 메뉴에서 - 플러그인 - 트위터 글 보내기를 클릭합니다. 

 

말머리는 [#Tistory] 라고 기본설정 되어 있는데 티스토리, 블로그, 소식 등 본인이 원하는 것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다음으로 계정 연결하기를 클릭하여 티스토리 블로그와 트위터를 연결합니다. 



그럼 위와 같은 창이 하나 뜹니다. 

이때 트위터에 로그인 후 Authorize app(앱인증) 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제 티스토리 블로그와 트위터가 연동되었습니다. 

앞으로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면 자동으로 트위터에도 글이 나타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생활정보19

금융, 복지, 교육 등 핫한 정보를 알려드려요

,
반응형

티스토리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로 수익을 더 올려보자

                                                                       - 닌맘의 나를 그리다. -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애드센스 광고를 적용하려면 먼저 애드센스 가입 승인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애드센스 승인 노하우를 통해 열심히 포스팅을 하여 최종 승인이 이루어지면 광고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홈페이지에서 새 광고 단위를 보면 처음에는 텍스트 및 디스플레이 광고,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 콘튼체 내 자동 삽입 광고 이렇게 3개의 광고가 보입니다.

지속적인 포스팅과 광고 수익이 이루어지면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가 생성됩니다. 

필자도 금일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가 생성되어 티스토리 블로그 하단 부분에 광고를 적용하였습니다.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 적용방법



우선 구글 애드센스 홈페이지에서 사이트-일치하는 콘텐츠 부분에서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가 나와있으면 이제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를 적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다음은 광고 - 광고단위 - 새 광고단위를 클릭하여 일치하는 콘텐츠를 선택합니다. 



광고 단위 이름은 본인이 편한 이름으로 적습니다. 

다음 광고 옵션은 광고를 통한 수익 창출을 ON으로 합니다. 

스타일에서 제목과 배경의 색을 원하는 것으로 변경합니다.

크기는 반응형 스킨이기때문에 반응형으로 선택 후 저장 및 코드 생성을 누릅니다. 


코드가 생성되고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화면에서 스킨편집 - html편집으로 가서 <body>태그와 </body>태그 사이에 코드를 붙여넣고 완료를 누르면 끝입니다. 

이제 가로 4개, 세로 2개의 광고가 블로그에 표출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코드는 가로 4개 세로 2개의 광고로 나타나는데 필자가 보기에는 "나는 광고입니다" 라고 말하는 것처럼 보여 방문자들이 쉽게 클릭을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그래서 필자 같은 경우에는 가로 3개 세로 3개의 광고가 보여지게 살짝 코드를 바꿨습니다. 




이런식으로 제 블로그에 나타납니다.


3X3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 만들기

맨 처음 만든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script async src="//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data-ad-format="autorelaxed"

     data-ad-client="ca-pub-XXXXXXXXXXXXX"

     data-ad-slot="XXXXXXXXXX"></in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script>


<script async src="//pagead2.googlesyndication.com/pagead/js/adsbygoogle.js"></script>

<!-- pbad -->

<ins class="adsbygoogle"

     style="display:block"

     data-ad-client="ca-pub-XXXXXXXXXXXXX"

     data-ad-slot="XXXXXXXXXX"

     data-matched-content-rows-num="3"

     data-matched-content-columns-num="3"

     data-matched-content-ui-type="image_stacked"

     data-ad-format="autorelaxed"></ins>

<script>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script>



이렇게 코드를 변경해주면 3X3 사이즈의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 코드가 완성됩니다.

이제 티스토리 관리자 화면에서 스킨편집 - html편집에서 <body>태그와 </body>태그 사이에 입력하면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3X3 사이즈의 광고가 나타나게 됩니다.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하단광고에 코드를 입력하는 방법도 있으니 참고하세요.

블로그 화면에 하얗게 빈칸이 나타난다면 잘 된것이니 조금만 기다리면 됩니다.

이제 광고 수익이 어떻게 변화가 있는지 시간을 두고 지켜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생활정보19

금융, 복지, 교육 등 핫한 정보를 알려드려요

,
반응형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robots.txt에 의해 차단됨 

이건 또 뭐냐

                                                            - 닌맘의 나를 그리다. - 




오랜만에 구글 메일에 접속을 했더니 구글 서치 콘솔(Google Search Console)에서 메일이 하나 와 있었습니다. 

이런 맙소사 새로운 적용 범위 문제가 발생되었다고 합니다. 

저번에는 제출된 URL을 찾을 수 없다고 404 오류 메일이 왔었는데 속상합니다.  


' 색인이 생성되었으나 rovots.txt에 의해 차단됨 '

이건 또 무슨말인지 우선 침착하게 적용 범위 문제 해결하기를 클릭해보았습니다. 




음.. 맨 밑부분에 3개의 URL이 영향을 받았습니다. 

URL을 자세히 보니 저의 블로그 주소 뒷부분에 admin, manage 이라고 되어있습니다. 

블로그 주소 뒷부분에 붙은 admin, manage 이 쪽은 관리자 페이지이기 때문에 티스토리에서 접근을 하지 못하게 설정해놔서 그런 것입니다.    

그래서 저 오류는 무시해도 된다고 합니다. 

우선은 제가 포스팅을 한 부분이 아니라 다행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생활정보19

금융, 복지, 교육 등 핫한 정보를 알려드려요

,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 방문자 늘리기 tip 이것도 하셨나요?                                                                              - 닌맘의 나를 그리다. - 



내가 운영하는 블로그에 방문자가 많다면 포스팅 하는데 있어 큰 힘이 될 것입니다. 

필자는 네이버, 구글, 빙(bing) 에서 검색 등록을 했습니다.  

그런데 티스토리 블로그 유입 경로를 보니 줌(zum.com)에서도 생각보다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아마도 알집이나 곰플레이어 등을 설치하면서 줌(zum.com)이 인터넷 기본 홈페이지로 설정되어져 그런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줌(zum.com)에도 신규 사이트 등록을 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줌(zum.com)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고객센터 사이트 등록 <- 이거 누르면 줌(zum.com) 사이트 등록으로 넘어갑니다.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이제 본인의 이메일, 사이트 주소, 사이트명, 사이트 소개, 등록 사유를 적은 후 신청하기를 누르면 끝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생활정보19

금융, 복지, 교육 등 핫한 정보를 알려드려요

,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 방문자 늘리기 해보자  

                                                              - 닌맘의 나를 그리다. - 




티스토리 블로그를 하면서 '다음'에서는 어느정도 유입량이 있는데 타 검색 포털 사이트에서는 방문자가 저조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방문자를 늘리기 위해서 이번에는 Bing(빙)웹마스터 도구등록 사이트맵, rss제출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검색 포털 사이트에서 빙 웹마스터 도구를 검색 후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아이디가 없다면 '가입'을 눌러 Microsoft, Google, Facebook 중 편한 계정을 선택합니다. 

필자는 Google을 선택하였습니다. 


창이 바뀌면서 사이트 추가 화면이 나왔습니다. 

여기서 사이트 추가에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적고 추가를 누릅니다. 

내 웹사이트 정보 입력란입니다. 

* 표시만 입력해도 된다고 하나 필자는 URL, sitemap, 내 정보 등 모두 입력하였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소유권 확인을 해야합니다. 

빨간 네모 박스 안에 있는 메타 태그를 모두 복사 후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화면에서 스킨편집을 클릭합니다. 

우측 상단의 html 편집을 누른 후 밑으로 쭉 내리면 </head>가 있습니다. 

</head> 바로 위에 아까 복사한 메타 태그를 붙여넣기 합니다. 

다음 빙 웹마스터 도구에서 확인을 누릅니다. 



위와 같은 화면으로 바뀌면서 빙 웹마스터 도구에 나의 블로그와 sitemapo이 등록되었습니다. 

다음은 마무리로 rss 제출을 해보겠습니다. 


내 사이트 구성에서 우측 중간쯤 보면 sitemap 제출을 클릭합니다. 

다음 빨간 네모 박스에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입력 후 /rss 를 적고 제출을 접습니다. 

http://minvely9504.tistory.com/rss 이런식입니다. 

이제 Bing(빙)웹마스터도구 사이트맵과 rss 제출이 모두 끝났습니다.

앞으로 Bing(빙) 에서도 검색 노출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생활정보19

금융, 복지, 교육 등 핫한 정보를 알려드려요

,